반응형 [재테크 이야기]20 10·15 부동산 대책 총정리 무주택자도 안심 못할듯 오늘 나온 기사인데 “15억 넘는 집은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4억 원, 25억 넘으면 2억 원으로 줄어든다”는 소식 입니다. 이번에 발표된 10·15 부동산 대책은 단순한 규제 강화가 아니라,앞으로 집을 사거나 전세를 구하는 모든 분들의 대출 전략을 바꿔야 하는 수준의 변화입니다.오늘은 어떤 내용이 달라졌는지, 왜 이런 조치가 나왔는지,그리고 실제로 우리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정리해볼까 합니다. 1. 주담대 한도, 가격 구간별로 축소 10월 16일부터 수도권 및 규제지역에서 적용됩니다.15억 원 이하 주택 → 기존처럼 최대 6억 원까지 가능15억 초과 ~ 25억 이하 → 최대 4억 원으로 축소25억 원 초과 → 최대 2억 원까지로 제한단, 재건축·재개발 이주비 대출은 주택가격과 상관없이 기존 한도인 6.. 2025. 10. 15. 코스피 상승이 허울뿐인 이유, 내가 보는 경제 신호 요즘 코스피가 역대 최고가를 갱신했다고 하죠. 뉴스에서는 “한국 경제가 살아났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투자자들은 즐거워합니다. 그런데, 정작 원달러 환율을 보면 말 그대로 폭등 중이에요.“이게 말이 되나?”라는 생각, 나만 하는 건 아니죠? 코스피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경제가 좋다고 볼 수 있을까요? 저는 최근 베네수엘라 경제 상황을 떠올리며 그 답을 찾아보려고 했는데요.베네수엘라는 한때 석유 부국이었지만, 정치 불안과 통화 정책 실패로 인플레이션이 폭발하고 경제가 붕괴했잖아요. 한국 상황이 그 길을 걷고 있는 건 아닌지 조마조마한 마음이 듭니다. 1. 코스피 상승과 원화 가치 하락의 불일치1) 기업 해외 이주와 국내 투자 환경한국 기업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높은 세금, 불안정한.. 2025. 10. 14. 원·달러 환율, 앞으로 3,000원 간다? 내가 보는 이유와 시나리오 요즘 뉴스 보면 원·달러가 1,400원을 훌쩍 넘었다는 기사를 자주 접합니다. 나라가 붕괴되는 기분이라 썩 좋지만은 않은데요.저도 솔직히 처음에는 “설마 그렇게까지?” 하고 반신반의했는데… 직접 데이터를 보고, 경제 지표를 하나하나 분석하다 보니… 느낌이 확 달라지더라고요. 정말 앞으로 3,000원까지 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하면, 너무 과장일까요? 오늘 글에서는 내가 보는 환율 폭등 이유와 앞으로 시나리오, 그리고 개인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대응 방법까지 솔직하게 풀어보려고 합니다.처음 보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차근차근 설명해보겠습니다. 1. 현재 경제 상황과 원인 분석우선 왜 환율이 이렇게 불안정한지부터 보면, 단순히 외국 요인 때문만은 아니에요.미국 금리 정책이 계속.. 2025. 10. 13. 코스트코에서 산 160만원자리 TV 10% 환급신청 해봤습니다. 이번에 오래된 TV를 교체하고자 코스트코에 방문하게 되었는데요.조금더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고자 여러 전자제품 판매장을 둘러봤지만, 그중에서도 코스트코 할인폭이 가장커서 결국 구매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구매한 제품은 삼성 75인치 TV 였는데. 기존에 55인치를 탈거하고 보니 ..크기 차이가 어마어마 하더군요. 세상참 좋아진거 같습니다. 그런데 결제하는 도중 직원분께서1등급 제품이니 으뜸효율 신청하세요 라는 말과 함께 필요한 서류를 설명해주셨고, 저는 필요한 서류를 받아 돌아왔습니다.뒤돌아보면 환급신청을 하고보니 직원분께서 설명해주지 않았다면..아마 두번의 방문이 필요했을꺼 같습니다. 그래서 참고하시라 말씀드리면 '거래명세서' 는 계산할때 주지 않기 때문에 직원분께 요청해서꼭 받아두시길 바랍니다.. 2025. 10. 12. 미국 골드 ETF vs KRX 금투자, 뭐가 더 유리할까? (세금·환율효과 완전정리) 요즘처럼 환율이 불안하고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는 시기엔 금투자 고민하시는 분들 정말 많죠.저도 실제로 미국 달러로 골드 아멕스(GLD ETF) 를 보유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KRX 금현물을 거래해봤어요.두 가지 다 경험해보니, 세금·환율·투자효과가 꽤 다릅니다.오늘은 미국 골드 아멕스 vs KRX 금투자 비교, 특히 세금과 달러가치 상승 효과 중심으로 정리해볼게요. 1. 투자 구조부터 다르다 👉 미국 골드 아멕스는 달러 기반의 해외 ETF 투자이고,KRX 금은 원화로 국내 증권사 통해 직접 금을 사는 방식이에요. 2. 세금 차이 ✅ KRX 금시장은 개인 투자자 완전 비과세!정부가 금시장 양성화를 위해 혜택을 주는 구조라,매매차익은 물론 보유세·양도세 모두 없습니다.반면,미국 골드 ETF는 해외주식으로.. 2025. 10. 10. 내가 오라클 주식에 3,200만 원 투자한 이유는? 최근 오라클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미국 클라우드 인프라 업체 오라클의 영업 마진이 예상에 못 미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기술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약화되어 큰 폭의 하락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사실 저는 얼마전부터 오라클을 조금씩 모아가고 있기는 합니다. 모은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장기적 투자 관점에서 조금씩 하다보니 어느새 3천만원이 넘는 금액까지 올라간 상태입니다.물론 미국주식 전체 포트폴리오를 본다면 극히 일부로 투자된 상태이긴 하지만, 나름 관심이 높은 종목중 하나이긴 합니다.그래서 오늘은 제가 매수한 이유와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실제 경험담을 정리하면 아마 여러분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아 정리해보려합니다. 1. 오라클 매수 결정 과정제가 오라클을 선택한 이유는 클라우드와 AI 분야의 .. 2025. 10. 8.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