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이야기]

출산 크레딧 2026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상한 폐지 포함)

1분 생활의지혜 2025. 11. 18. 09:00
반응형

 

 

출산 크레딧이라는 제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근데 막상 “이게 언제부터 얼마나 주는 건데요?”라고 하면

대부분 정확하게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

 

저도 처음엔 그냥 “애 많이 낳으면 국민연금 조금 더 준대” 정도로만 알고 있었어요.

그런데 이번 국민연금 개편으로 2026년부터 출산 크레딧 제도가 완전히 달라지는 거예요.

특히 첫째부터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이거 생각보다 꽤 큰 변화인데?”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지금부터는

2025년까지 적용되는 현행 제도

2026년부터 달라지는 새로운 제도

이 두 가지를 딱 비교해서 쉽게 풀어드릴게요.

자녀가 있는 분들은 물론이고, 앞으로 계획이 있는 분들에게도 정말 중요한 내용이에요.

 


1. 현행 출산 크레딧은 이렇게 적용되고 있어요 (2025년까지)

출산 크레딧은 말 그대로 자녀 수에 따라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추가로 얹어주는 제도예요.

쉽게 말하면, “보험료 더 내지 않아도 가입기간 계산을 더 길게 쳐줄게요” 이런 느낌이죠.

 

✔ 적용 기준

  • 200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입양한 자녀부터 적용

 

✔ 현행 인정 개월 수

  • 2자녀: 12개월
  • 3자녀: 30개월
  • 4자녀: 48개월
  • 5자녀 이상: 계산상 66개월이지만, 상한 50개월 적용

 

즉, 2명까진 추가 인정이 작고, 3명 넘어서부터는 확확 늘어나지만

결국에는 50개월에서 딱 끊기는 구조입니다.

 

 

 

 

이 상한이 생각보다 큽니다.

자녀가 5명이라고 해도 실제 인정기간은 50개월을 넘지 못했거든요.

이게 이번 개편에서 가장 크게 달라지는 부분이에요.

 

2. 2026년부터 출산 크레딧, 이렇게 확 바뀝니다

2026년 1월 1일 이후 출생·입양한 자녀부터는 혜택 구조가 완전히 뒤집어집니다.

정말 말 그대로 “첫째부터 인정되는 시대”가 되는 거죠.

 

✔ 1) 첫째·둘째도 12개월씩 인정 새로운 방식은 이래요.

  • 첫째 자녀: 12개월
  • 둘째 자녀: 12개월
  • 셋째 자녀부터: 1명당 18개월씩 인정

 

 

 

 

이건 지금과 비교하면 정말 큰 변화입니다.

원래는 둘째부터 시작했는데, 이제는 첫째부터 인정하는 거죠.

 

예를 들면,

  • 2026년 첫째 출산 → +12개월
  • 2028년 둘째 출산 → +12개월 (총 24개월)
  • 2030년 셋째 출산 → +18개월 (총 42개월)

이런 식으로 누적되는 구조예요.

 

2) 50개월 상한 폐지

현행 제도에서 가장 아쉬웠던 부분이 바로 이것이었죠.

자녀가 아무리 많아도 50개월까지만 인정.

 

 

 

근데 2026년부터는?

👉 상한 자체가 사라집니다.

즉,

  • 자녀가 4명이든 5명이든
  • 6명, 7명... 심지어 더 많아도

첫째 12 + 둘째 12 + 셋째부터 18개월씩 계속 추가.

실제로는 다자녀 가정의 국민연금 수령액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요.

가입기간 1년이 늘어나는 것만 해도 나중에 수령액이 꽤 차이가 나거든요.

 

 

3) 기존 자녀 + 2026년 이후 자녀가 섞이면?

이 부분도

  • 2025년까지 출생한 자녀: 현행 제도 그대로
  • 2026년 이후 자녀: 새로운 제도 적용

즉, 자녀가 섞여 있는 가정이면 “자녀별로 각각 다른 규정”이 적용돼요.

그래서 나중에 연금 수급 시점에는 국민연금공단에서 정확하게 계산해줍니다.

 


결론

출산 크레딧은 그동안 다자녀 가정 중심의 제도였지만, 2026년 개편으로 첫째부터 혜택을 주는 제도로 바뀌면서, 사실상 모든 가정이 혜택을 받는 구조가 되었어요.

특히

✔ 첫째·둘째 12개월 인정

✔ 셋째부터 18개월

✔ 50개월 상한 폐지

이 3가지 변화는 부모 입장에서 체감되는 국민연금 증가폭이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같이보면 좋은글

↓↓

 

 

육아휴직 끝나면 4대보험은 어떻게 될까? (실제 육아휴직 중인 제가 정리해봤어요)

저도 지금 육아휴직 중이에요.퇴근 후 육아가 아니라, 하루 종일 육아를 하다 보니 회사 다닐 때보다 더 바쁘더라구요.그래도 출근 스트레스는 덜하니까 마음은 편한데요.근데 요즘 복직을 앞두

nayou8409.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