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끝나면 4대보험은 어떻게 될까? (실제 육아휴직 중인 제가 정리해봤어요)

저도 지금 육아휴직 중이에요.
퇴근 후 육아가 아니라, 하루 종일 육아를 하다 보니 회사 다닐 때보다 더 바쁘더라구요.
그래도 출근 스트레스는 덜하니까 마음은 편한데요.
근데 요즘 복직을 앞두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육아휴직 끝나면 4대보험은 다시 자동으로 복귀되는 걸까?”
사실 저도 처음엔 이 부분이 너무 헷갈렸어요.
그래서 오늘은 육아휴직 종료 후 4대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제가 직접 정리한 내용을 공유드릴게요.
1. 육아휴직 중 4대보험은 일부 멈춰 있습니다

육아휴직이 시작되면 4대보험 중 일부는 ‘납부 예외’나 ‘감면’ 처리가 돼요.
보통 회사 인사팀에서 자동으로 신고하지만, 기본 원리는 이렇습니다.
- 국민연금: 소득이 없기 때문에 납부 예외자 처리
- 건강보험: 회사가 휴직 신고 시 납부 중단 (경우에 따라 직장 유지 or 지역 전환)
- 고용보험: 육아휴직 급여를 받는 기간은 가입 유지
- 산재보험: 근무하지 않기 때문에 보험료 없음
즉, 완전히 탈퇴하는 게 아니라 “잠시 멈춘 상태”로 이해하면 돼요.
그래서 복직 시점이 되면 자동으로 다시 살아난다고 보시면됩니다.
2. 복직하면 4대보험이 자동으로 재가입됩니다

복직일이 되면 회사가 다시 근무자 신고를 넣어요.
그 시점부터 4대보험이 전부 자동 재개됩니다. 직원 입장에서는 따로 신청할 필요가 없어요.
다만, 주의할 점이 하나 있는데요.
만약 복직 전에 퇴사를 결정하게 된다면, 그때는 자동 복귀가 안 되고 지역가입자 전환으로 넘어갑니다.
즉,
- 복직 시 → 회사가 다시 내주는 직장가입자
- 퇴사 시 → 내가 직접 내야 하는 지역가입자
이 차이가 건강보험료나 국민연금 납부 금액에 꽤 큰 영향을 줘요.
특히 건강보험은 지역가입자가 되면 보험료가 갑자기 확 오를 수도 있으니
퇴사 전에 배우자 피부양자 전환 여부 꼭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3. 복직 전후로 꼭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

저도 지금 미리 정리해두고 있는 부분이에요👇
✅ 복직 전 확인할 것
- 국민연금 납부 예외 해제 여부
- 건강보험 자격 유지/전환 시점
- 고용보험 육아휴직 급여 종료일 확인
✅ 복직 후 확인할 것
- 첫 급여명세서에 4대보험 공제 재개 여부
- 건강보험 자격득실내역서(홈택스/4대보험포털) 확인
작은 부분 같지만, 한 번 꼬이면 나중에 소급 처리하느라 꽤 번거로워요.
특히 건강보험 지역가입 전환이 며칠만 늦어도 보험료가 이중 청구될 수 있어서, 복직 날짜에 맞춰 바로 신고되는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결론: 복직 예정자라면 ‘자동 복귀’만 믿지 말고 직접 확인하세요
결론은 간단해요.
4대보험은 복직과 동시에 자동 복귀되지만,
행정 처리 지연이나 회사 내부 신고 누락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저도 그래서 미리 4대보험 포털(https://www.4insure.or.kr) 들어가서
내 이름으로 자격 상태를 확인해보고 있어요.
생각보다 간단하고, 안심이 되더라구요.
혹시 저처럼 육아휴직 중이시거나 곧 복직을 앞두신다면
댓글로 궁금한 점 남겨주세요.
같이보면 좋은글
↓↓
육아휴직 중인데 연말정산 해야 하나요? 직접 해보니
저는 현재 육아휴직 중이에요.아이랑 하루 종일 붙어 있다 보면 회사 일은 까맣게 잊게 되죠. 그런데 얼마 전 회사 단톡방에서 “연말정산 자료 올려주세요~”라는 메시지를 보고순간 멈칫했어
nayou840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