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인 이야기]

엔비디아가 또 미쳤다… AI 시장을 장악한 절대 이유

1분 생활의지혜 2025. 11. 21. 10:00
반응형

엔비디아 실적발표

 

어제 엔비디아가 또 한 번 시장을 뒤흔드는 실적 발표를 했습니다.

AI 서버·H100 GPU 판매가 예상보다 훨씬 크게 늘면서, 매출과 이익 모두 전년 대비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주목받았던 건 단순히 “잘 팔렸다”가 아니라,

이번 실적 발표가 최근 몇 달 동안 계속 나왔던 AI 거품론을 사실상 잠재웠다는 점입니다.

 

오늘은 엔비디아가 AI 시대의 절대 강자가 된 이유를 쉽게, 핵심만 정리해서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1. GPU 성능 자체가 압도적이다

 

엔비디아 GPU
엔비디아 GPU

 

AI 학습은 엄청난 양의 병렬 연산이 필요한데, 이걸 가장 잘하는 게 GPU예요.

엔비디아의 대표 제품들:

  • A100 → H100 → H200 → GH200 → Blackwell(B200)
  • 매 세대마다 성능이 2배~4배씩 “점프”

경쟁사 AMD도 추격 중이지만 격차가 오히려 벌어지는 중이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AI 기업 입장에서는 성능이 더 좋고, 더 빨리 나오는 제품을 선택할 수밖에 없죠.

 

2. 진짜 핵심: CUDA라는 ‘독점 생태계’

전 세계 AI 개발자들이 엔비디아에 묶여있는 이유 = CUDA

 

CUDA는 엔비디아 GPU에서 AI 모델을 쉽게 돌릴 수 있는 전용 개발 환경이에요.

 

 

 

즉,

✔ 학부 연구실부터 빅테크까지

✔ AI 모델 개발부터 배포까지

✔ 머신러닝 라이브러리 대부분이

 

CUDA 기반으로 최적화되어 있음”.

개발자들은 이미 CUDA에 익숙해진 상태라,

다른 브랜드로 옮기면 개발 전체를 다시 해야 하는 수준이라서 엔비디아 생태계에 갇히게 돼요(락인 효과).

이건 애플의 iOS·앱스토어 락인 효과와 거의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3. AI 소프트웨어까지 엔비디아가 장악했다

 

 

 

 

하드웨어만 잘 만드는 게 아니라 AI 개발에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까지 엔비디아가 직접 공급합니다.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스택:

  • cuDNN
  • TensorRT
  • cuBLAS
  • NVLink/NVSwitch
  • 그리고 대부분의 딥러닝 프레임워크(PyTorch·TF)는 엔비디아 최적화 기본 탑재

AI 연구자들은 사실상 엔비디아 환경을 쓰는 게 가장 빠르고 편함.

 

4. 전 세계 데이터센터를 엔비디아가 독점

 

 

 

 

AI를 학습시키려면 GPU 수천~수만 장이 필요해요.

그래서 세계 주요 기업들은 데이터센터를 엔비디아 기반으로 지었죠.

  • 아마존 AWS
  • 마이크로소프트 Azure
  • 구글 GCP
  • 메타
  • 오픈AI
  • 테슬라, 바이두, 텐센트 등 중국 빅테크

 

데이터센터는 한 번 구축하면 5~10년 사용하기 때문에

이미 엔비디아 기반으로 지어진 곳은 계속 엔비디아 제품을 다시 구매하게 됩니다.

 

5. GPU + 네트워크 + 서버 ‘풀 패키지’를 공급

엔비디아는 이제 단순한 그래픽카드 제조사가 아니에요.

거의 AI 산업을 위한 종합 패키지 회사입니다.

  • DGX 서버
  • 네트워크 기술(Mellanox 인피니밴드)
  • 대규모 GPU 병렬 기술(NVLink/NVSwitch)
  • 소프트웨어 개발 툴
  • AI용 슈퍼컴퓨터

 

AI 기업들 입장에서는

엔비디아 제품을 쓰면 전체가 호환되고 안정적이라 선택할 이유가 충분하죠.

 

6. AI 시대의 ‘원유’를 독점: GPU 공급

 

 

 

 

지금은 GPU가 AI 개발의 ‘석유’ 같은 존재인데, 그 석유를 거의 엔비디아가 독점적으로 공급 중입니다.

전 세계 어디나 GPU 부족 상태이고,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 폭발할 전망이에요.

AI 열풍이 지속되면 엔비디아의 매출·영향력도 계속 확장될 수밖에 없죠.

 

7. 가장 빠르게 혁신하는 기업

엔비디아는 2년마다 GPU 아키텍처를 완전히 업그레이드합니다.

  • Volta → Ampere → Hopper → Blackwell
  • 성능 개선 폭이 타사보다 두세 배 빠름
  • R&D 투자 규모: 연간 12조~14조 원(반도체 기업 중 최상위권)

 

기술 격차가 단순한 "성능 차이"가 아니라 기술 속도·생태계·확장성 전체에서 압도적이라는 게 핵심이에요.

 


 

결론 — 엔비디아는 ‘GPU 회사’가 아니라 ‘AI 전체를 통제하는 회사’

엔비디아의 힘은 단순한 GPU 성능 때문이 아니에요.

AI를 연구하고 개발하고 배포하는 과정 전체가 이미 엔비디아 중심으로 설계된 생태계기 때문이에요.

 

✔ GPU 성능

✔ CUDA 독점 생태계

✔ AI 소프트웨어 스택

✔ 전 세계 데이터센터 장악

✔ 서버+네트워크 풀 패키지 공급

✔ 빠른 기술 혁신

 

이 모든 걸 한 회사가 다 갖고 있는 경우는 엔비디아가 거의 유일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AI 산업이 성장하면 할수록 엔비디아의 지배력은 더 강해질 수밖에 없어요.

 

 

결론은 돈 생기는 족족 엔비디아 사모으자 끝!

 


 

같이보면 좋은글

↓↓

 

 

미국 대통령이 강한 이유: 군사력·경제력으로 본 실제 영향력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가진 나라가 바로 미국이죠.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 나라의 최고 권력자인 미국 대통령이 도대체 얼마나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길래, 세계 모든

nayou8409.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