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이야기]

미국 골드 ETF vs KRX 금투자, 뭐가 더 유리할까? (세금·환율효과 완전정리)

1분 생활의지혜 2025. 10. 10. 19:36
반응형

 

미국 골드 ETF VS KRX 금투자
미국 골드 ETF VS KRX 금투자

 

 

요즘처럼 환율이 불안하고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는 시기엔 금투자 고민하시는 분들 정말 많죠.
저도 실제로 미국 달러로 골드 아멕스(GLD ETF) 를 보유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KRX 금현물을 거래해봤어요.
두 가지 다 경험해보니, 세금·환율·투자효과가 꽤 다릅니다.
오늘은 미국 골드 아멕스 vs KRX 금투자 비교, 특히 세금과 달러가치 상승 효과 중심으로 정리해볼게요.


 

 

1. 투자 구조부터 다르다

투자구조
투자구조
 
👉 미국 골드 아멕스는 달러 기반의 해외 ETF 투자이고,

KRX 금은 원화로 국내 증권사 통해 직접 금을 사는 방식이에요.

 

 

2. 세금 차이 

세금비교
세금비교

KRX 금시장은 개인 투자자 완전 비과세!
정부가 금시장 양성화를 위해 혜택을 주는 구조라,
매매차익은 물론 보유세·양도세 모두 없습니다.

반면,
미국 골드 ETF는 해외주식으로 분류되어 연 250만 원 초과 수익분에 대해 22% 세금을 내야 합니다.

 

 

💵 3. 달러 가치 상승의 ‘이중 효과’

달러가치 상승
달러가치 상승

이 부분은 제가 직접 체감한 차이예요.

  • 골드 아멕스 ETF는 달러로 매입하기 때문에
    금값이 오르고 달러 가치가 함께 오르면 ‘이중 수익이 납니다.
  • 반대로, 달러가 떨어지면 금값이 올라도 환율 손실이 일부 상쇄되죠.

예를 들어👇

금값 +5%, 달러강세 +3%면 → 실제 수익률 약 +8%
(KRX 금투자는 +5%만 반영)

👉 그래서 저는 달러 자산을 늘리고 싶을 때는 골드 아멕스,
세금 없이 단기 보유하고 싶을 땐 KRX 금시장을 이용합니다.

 

 

⚖️ 4. 환율 리스크 관점에서

리스크 비교
리스크 비교

 

미국 골드 ETF는 달러와 금을 동시에 보유하는 느낌이라
달러 강세 구간에서는 유리하지만,
달러 약세 구간에선 수익률이 눌릴 수 있습니다.

반면 KRX 금은 환율과 무관하게 금값 자체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좀 더 단순하고 안정적이에요.

 

 

💰 5. 거래비용 & 편의성 비교

거래비용 & 편의성 비교
거래비용 & 편의성 비교

 

실제로 KRX 금시장은 키움·미래에셋·NH·KB증권 앱에서 금현물 거래 가능해서
주식처럼 매매하기 편하고, 1g 단위 거래도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에요.

 

✳️ 6. 결론 요약

 

투자방향
투자방향

 


💬 마무리 — 내 전략은 이렇게

저는 개인적으로 KRX 금시장으로 일정량을 비과세 보유하면서,
미국 ETF(IAU, GLD)는 달러 강세 구간에만 추가매수하는 식으로 운영합니다.
이렇게 하면 세금 0원 + 달러 수익 이중 노출을 동시에 노릴 수 있죠.

결국 정답은 “원화 자산을 지키느냐, 달러 자산을 늘리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둘 다 나름의 매력이 있으니, 목적에 맞게 분리해두는 게 현명합니다 💡

 

📌 요약 한 줄:

KRX 금 = 세금 0% 안전자산
골드 아멕스 = 달러자산+금값 상승의 이중수익

 


 

같이보면 좋은글

 

 

금값 급등! 지금 들어가도 될까? ETF, 현물, KRX 금투자 방식 비교

오늘 기준 금값 한돈이 70만원을 넘어섰습니다.기사를 볼때마다 “역대 최고가 갱신”, “불확실성 시대의 안전자산” 이런 말들이 매일같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요.저도 처음엔 그냥 남 얘기 같

nayou8409.com

 

반응형